-
[백준] 14226번_이모티콘Study/알고리즘 2020. 2. 26. 21:32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4226
14226번: 이모티콘
영선이는 매우 기쁘기 때문에, 효빈이에게 스마일 이모티콘을 S개 보내려고 한다. 영선이는 이미 화면에 이모티콘 1개를 입력했다. 이제, 다음과 같은 3가지 연산만 사용해서 이모티콘을 S개 만들어 보려고 한다. 화면에 있는 이모티콘을 모두 복사해서 클립보드에 저장한다. 클립보드에 있는 모든 이모티콘을 화면에 붙여넣기 한다. 화면에 있는 이모티콘 중 하나를 삭제한다. 모든 연산은 1초가 걸린다. 또, 클립보드에 이모티콘을 복사하면 이전에 클립보드에 있던 내용
www.acmicpc.net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MAX = 1001 s = int(input()) check = [[-1]*MAX for _ in range(MAX)] def bfs(x,y): q = deque() check[x][y] = 0 q.append((x,y)) while q: x,y = q.popleft() # 복사 if check[x][x] == -1: check[x][x] = check[x][y] + 1 q.append((x,x)) # 붙여넣기 if x+y<s+1 and check[x+y][y] == -1: check[x+y][y] = check[x][y] + 1 q.append((x+y,y)) # 삭제 if x-1>=0 and check[x-1][y] == -1: check[x-1][y] = check[x][y] + 1 q.append((x-1,y)) bfs(1,0) ans = min([n for n in check[s] if n!=-1]) print(ans)
q에 들어가는 x,y는 차례대로 화면에 있는 이모티콘의 개수, 클립보드에 있는 이모티콘의 개수이다.
+ 처음에 예시조차 이해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해보자면,
클립보드에 복사된 이모티콘은 언제든 다시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이해한 방식은 복사->붙여넣기->복사->붙여넣기->... 의 형식이었는데 복사->붙여넣기->붙여넣기->붙여넣기->..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Study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261번_알고스팟 (0) 2020.02.28 [백준] 13549번_숨바꼭질3 (0) 2020.02.27 [백준] 1043번_거짓말 (0) 2020.02.26 [백준] 1697번_숨바꼭질 (0) 2020.02.26 [백준] 7576번_토마토 (0) 2020.02.26